Surprise Me!

[일요와이드] 문 대통령, 방미 마무리…한미정상회담 성과는?

2021-05-23 0 Dailymotion

[일요와이드] 문 대통령, 방미 마무리…한미정상회담 성과는?<br />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이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한미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평가와 함께, 향후 남북미 관계의 변화 가능성을 전문가 두 분과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우정엽 세종연구소 미국연구센터장, 김진아 한국국방연구원 북한군사연구실장, 어서오세요.<br /><br /> 이번 첫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견인부터 미사일 지침 종료 등 외교 안보 사안, 백신·반도체 협력까지 폭넓은 사안을 다뤘습니다. 두 분께서 보시기에 가장 큰 성과는 무엇이라고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대북 정책 검토 결과에서 북미 싱가포르 합의를 토대로 외교를 통한 단계적 접근 의지를 밝힌 바 있습니다.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남북 판문점 선언까지 명시했는데요. 과거 협상을 존중하면서 정책의 연속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?<br /><br /> 바이든 대통령은 성 김 대사를 대북특별대표로 임명했다고 깜짝 발표했습니다. 김 대표는 싱가포르 회담 때 북한 최선희 외무성 부상과 합의문을 조율한 인물이죠. 대북정책 검토를 마친 미국이, 북측 인사와 만났던 김 대표를 통해 대북 물밑 접촉을 시작하겠다는 의미로 보여요?<br /><br /> 트럼프 전 대통령처럼 한 번에 모두 해결하는 빅딜합의 보다는 실무그룹에서의 협상을 통해 착실하게 준비하겠다는 원칙을 내세웠습니다. 바이든 대통령은 비핵화에 진전이 있어야 김정은 위원장을 만날 수 있다고 했는데요. 공은 북한에 넘어간 것이란 해석입니다. 어떤 식으로 북한이 반응을 보일까요?<br /><br /> 미국의 새 대북정책과 정상회담 공동선언문에는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하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이 상당부분 반영됐다는 평가입니다. 하지만 당장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서도록 하는 경제제재 해제나 정전선언 같은 조건과 명분이 부족하다고 보는 지적도 있어요?<br /><br /> 한미정상회담에 아직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북한이, 오늘 대외선전매체를 통해 한미일 3국 공조를 간접적으로 비난했습니다. '서울 푸들', '양키 승냥이' 등 노골적인 표현도 서슴지 않았는데요.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 대한 북한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미국은 또 우리 국군 55만 장병들에게 백신을 직접 지원키로 했습니다. 바이든 대통령은 양국 장병들의 연합작전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고 전했는데요. 하반기부터 정상적인 한미연합훈련이 가능하게 될까요?<br /><br /> 우리 군의 미사일 사거리와 탄두 중량을 제한했던 규정이 42년 만에 사라졌습니다. 한미미사일지침 완전 해제로 우리나라도 사거리 1,000km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개발·배치할 수 있게 됐는데요. 대북 대응을 넘어 동북아 전역이 사정거리에 들어오는 만큼, 주변국의 반응도 중요해 보이는데요?<br /><br /> 주영 북한 대사관 공사 출신의 태영호 의원은, 향후 한반도 정세의 변수가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에 달려있다는 분석을 내놨는데요. 어떤 의미의 발언으로 평가 하시는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